my table

워드프레스를 이용한 정기결제 사이트 본문

디자인 이야기

워드프레스를 이용한 정기결제 사이트

epoch2 2017. 12. 15. 13:30




woocommerce의 subscriptions플러그인을 사용하여 구현


정해진 기간동안 자동결제가 진행되어 소비자에게는 정기적으로 상품을 받아볼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면서 업체는 고정 소비자를 확보해서 안정적 수입확보가 가능해질 것이라는 고려로 제작된 사이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 자동결제에 대한 문의를 하면 '할부형태'를 얘기한다. 일정금액이 주기적으로 결제되는 방식에 대해 얘길하면 PG사도 2곳정도, 독립서버에서 독자적인 개발이 아니라면 워드프레스로 하면 가능하다는 말이 나온다. 정기결제가 가능한 쇼핑몰 제작이 목표였기 때문에 워드프레스로 바로 작업 진행.


정기결제가 가능한 사이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약간의 플러그인이 필요한데,

검색을 하다보면 국내 쇼핑몰 플러그인 제작업체의 것을 사용하는 것 처럼 검색이 된다. 그 플러그인과 함께 우커머스의 subscriptions은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는 주의 사항이 있다.(혹 이런 업체의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더 편리한 무엇이 있을지도. 뭐가 있는지는 사용안해봐서 모릅니다... 꽤 고가여서 테스트 삼아 구입할 여건이 안되어...). 

계속 검색하다가 subscriptions만 있어도 된다는 것을 확인후 woocommerce의 subscriptions플러그인을 사용하여 구현. 

PG사는 정기결제가 가능한 나이스정보통신을 이용하였다.


플러그인 페이지에 동영상이 나오는데, 자동결제로 학원비 결제는 생각도 못했는데 유용할 것 같다.







상품구성은 단품, 세트(10팩/15팩/20팩), 정기배송 상품 3가지로 구성된다.

상품페이지에서 옵션들이 보여지는 방식이 다수의 쇼핑몰에서는 드롭다운메뉴로 상품선택 보여지는데, 나열된 것에서 고르는 방식보다는 소비자 입장에서 필요한 중량과 수량에 대한 고민을 할수 있게 옵션들을 단계적으로 보여지게 했다.

정기배송 상품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옵션이 보여진다.


필요한 배송주기를 선택중량과 필요량을 선택필요시 부직포가방과 날짜를 지정.



데스크탑PC 뿐만아니라 모바일에서도 레이아웃의 어그러짐없이 잘 보여야해서 배송주기 선택을 화면의 가로폭이 넓게 남았음에도 세로로 1개 옵션씩 표현되게 배치했다.

개인적으로는 다수의 쇼핑몰에서 옵션을 표현하는 방식이 오히려 소비자가 더 편하게 선택할 수 있는 방식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중량이 높은 상품이 맛있다며 중량을 강조하는 쇼핑사이트였지만, 처음부터 중량에 대한 확고한 생각을 갖고 상품을 고르는 사람이 있을까 싶었다. 게다가 상품을 사용한적 없는데 이 상품을 한달에 얼만큼 소비할지 소비자가 예상할수 없는 상태에서 배송주기를 먼저 고려한다는 것도 이 사이트의 문제였던 것 같다. 

처음엔 정기배송 세트구성을 과일정기배송 사이트에서의 주기처럼 소량에 짧은 주기로 배송하는 것을 옵션에 넣었지만, 실제 적용은 판매자 입장에서의 수익과 편의성을 고려새 세트구성 단위가 커졌다. 

근데 원초적인 문제는 고등어만으로 정기적으로 배송받아 먹을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가 아니었을지 싶다.

사이트 오픈 전, 네이버스토어팜에서 판매를 시작하며 하루 유입자와 판매량 등을 볼때 소비자가 인터넷에서 고등어를 검색해서 들어오는 경우도 드물고, 생각보다 고등어 소비가 크지 않은 것이었다. 일반 세트구성이라도 잘 팔기위해 정기배송은 홍보도 거의 안하며 유야무야 되고 있는 중. 사이트 역시.


워드프레스로 구현한 정기배송 쇼핑몰엔 친구추천 기능과 사진리뷰(woocommerce product reviews pro 플러그인), 쿠폰(Smart Coupons 플러그인) 페이지도 포함되었다. 

친구추천의 경우 우커머스의 플러그인 보다 약간 저렴한 YITH의 WooCommerce Points and Rewards 플러그인을 사용했다.

구매시 로그인 방식은 별도의 회원가입이 필요하지 않은 소셜로그인도 넣었다. 쇼핑몰의 소비자 유형이 카카오톡을 많이 사용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카카오톡 로그인 기능도 넣었다.

많은 사이트에서 소셜로그인 방식으로 페이스북/트위터/ 구글 계정까지가 제공되는데 우커머스의 소셜로그인 방식 예시로  인스타그램 로그인 설정이 되는 것을 보고 인스타그램 계정 로그인도 사이트에 넣었다. 


인스타그램 로그인은 인스타그램 디벨로퍼 페이지(https://www.instagram.com/developer) > clients manage > permissions에세 인스트그램 계정이 자신의 쇼핑몰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쇼핑몰 내에서 상품구매 행동과 로그인창, 마이페이지에서 보여지는 것들을 동영상으로 찍어 링크도 올려야 약간의 심사시간이 지난 후 승인된다. 동영상이 부실하면 승인이 나지않을수도 있다. (2차에 승인났음).

Comments